728x90 반응형 경제의 숲/부동산 이야기56 수익형 부동산으로 월급 받아요~ 월급처럼 매달 월수입이 보장되는 투자처가 있다면 정말 좋겠죠. 부동산에 투자하면서도 수익형 부동산인지 시세차익형인지 구분하지 않고 투자하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간혹 수익형 부동산을 매입하고 몇 년이 흐른 뒤 매도하려고 할 때 매입 시나 크게 차이가 없어 속상해하는 경우가 있죠. 그래서 오늘은 수익형 부동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수익형 부동산은? 임대수익을 주기적으로 올릴 수 있는 수익형 부동산은 주거용, 상업용, 숙박용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요즘처럼 제로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은행에 저금하기 보다는 수익률이 좋은 수익형 부동산에 투자자가 몰리게 됩니다. 2. 수익형 부동산의 장단점 1) 수익형 부동산의 장점 (1) 수익성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일수록 투자자들은 수익율이 높은 상품에 대.. 2021. 7. 8. 부동산 물권과 채권 권리 이해하기 부동산 관련 글을 읽다 보면 물권, 채권 등의 단어를 보게 됩니다. 단어의 뜻으로만 본다면 이해가 쉬운데 권리 분석하려 하면 도통 이해가 되지 않는 경우를 접하게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권리가 무엇이고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권리간 충돌 시 어떤 것이 우선하는 지를 알아보려 합니다. 1. 권리란? 일정한 이익을 향유하기 위해서 국가가 법적인 강제력으로 인정하는 힘 2. 권리의 종류 1) 재산권 사법상·공법상의 경제적 가치가 있는 모든 권리입니다. 1) 물권 물건을 배타적으로 지배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1) 점유권 물건을 사실상 지배하고 있는 자의 권리로 점유라는 사실을 법률요건으로 하여 점유자에게 인정되는 권리입니다. (2) 본권 ①소유권 물건을 사용, 수익, 처분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 2021. 7. 3. 산지전용허가 알아보기 우리나라 국토의 약 70% 정도가 산지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실지 이용할 수 있는 토지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산지를 타용도로 전용할 수 있게 해주는 산지전용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1. 산지란? 산지의 합리적 보전·이용을 위해 전국 산지는 보전산지와 준보전산지로 구분하며, 보전산지에는 임업용산지와 공익용산지가 있으며 「산지관리법」에 의한 산지는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토지를 말한다. 입목(立木)·죽(竹)이 집단적으로 생육하고 있는 토지 집단적으로 생육한 입목(立木)·죽(竹)이 일시 상실된 토지 입목(立木)·죽(竹)의 집단적 행육에 사용하게 된 토지 임도, 작업로 등 산길 ※ 농지, 초지, 주택지, 도로, 과수원·차밭·삽수 또는 접수의 채취원, 입목(立.. 2021. 7. 2. 「경공매」경공매 용어 알아보기 경매, 공매 대해 알아보면서 일상에서 쓰이는 용어가 아니다 보니 이해가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경공매에 자주 쓰이는 용어를 알아보려 합니다. 1. 각하 행정상 또는 사법상의신청을 배척하는 처분, 특히 소송상 법원이 당자자 그 밖의 관계자의 소송에 관한 신청을 배척하는 재판을 말하는 것입니다. 각하에 대해서는 부적법의 원인이 된 흠결(欠缺)을 보정(補正)해서 다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각에 대해서는 보정이 있을 수 없고 상소(上訴)로써만 다툴 수 있습니다. 2. 가압류 금전으로 환전할 수 있는 채권이나 금전 채권을 장래 강제집행이 불능이 되거나 현저히 곤란할 염려가 있을 때를 위해 채무자의 현재의 재산을 압류하여 확보함으로써 강제집행을 보전함을 목적으로 하는 명령 또는 집행으로써 하.. 2021. 6. 29. 「경공매」말소기준권리란? 1. 말소기준 권리란? 말소기준 권리란 부동산 경매절차에서 경매물건이 낙찰될 경우, 그 부동산에 있는 권리가 소멸하는가 아니면 그대로 존대해 낙찰자에게 인수되는가를 가늠하는 기준이 되는 권리를 말한다. 각 권리간 충돌이 발생했을 때 기준이 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말소기준 권리는 법률용어는 아니며 경매에서 배당받게 되면 말소기준 권리 이전은 인수하고 이후 권리는 소멸되는 것을 말합니다. 말소기준 권리에는 (근) 저당권, (가) 압류, 담보가등기, 경매개시 결정 등기, 선순위 전세권(경매신청 및 배당요구 시)등이 있습니다. 즉, 말소기준 권리는 경매물건의 등기부에 표시되는 모든 권리와 표시되지 않는 모든 권리를 낙찰자에게 인수 혹은 소멸되는 지를 결정하는 기준 권리입니다. 말소기준 권리를 기준으로 한 인수.. 2021. 6. 24. 건축행위가 그린벨트에서도 가능하다고? 투자 대비 수익성이 아주 높은 그린벨트에서 가능한 건축행위에 대해 궁금하시죠? 이번 글에서는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가 무엇인지 그리고 투자 매력, 매입 시 주의 점등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1.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란? 그린벨트는 도시의 경관을 정비하고, 환경을 보전하기 위해서 설정된 녹지대이며 개발제한구역이라고도 합니다. 그린벨트 안에서는 건축물의 신축·증축, 용도변경, 토지의 형질변경 및 토지분할 등의 행위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도시 주변의 자연환경을 보전하여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시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거나 국방부 장관의 요청이 있어 보안상 도시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해제를 도시계획으로 .. 2021. 6. 21. 이전 1 ··· 5 6 7 8 9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