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챙김

건강기능식품vs건강식품 바로 알기

by 홀로 걷는 여행자 2021. 8. 20.
반응형

건강기능식품과 건강식품을 혹시 혼용해서 사용하고 계시지 않나요? 오늘을 혼동하기 쉬운 용어의 명확한 뜻을 알아보고 똑똑하게 우리 가족 건강 지킬 수 있는 정보를 공유하려고 합니다. 

 

 

<건강기능식품>

건강기능식품은 3가지 기능 즉, 영양 기능, 감각적·기호적인 기능 그리고 생체조절 기능에 적합한 제품을 말하며 원료나 성분 등이 유용한 기능성 있어  우리가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성분을 제조 가공한 식품입니다. 기능성 원료로 인정받으려면 식품의약품 안전처의 동물시험, 인체적용시험 등을 근거로 한 평가를 받은 것이어야 합니다. 건강기능식품을 일반식품과 구별은 건강기능식품에는 기능성 원료의 '건강기능식품' 문구 또는 인증마크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또 섭취량과 섭취방법, 1회분이 보장하는 안정성과 기능성 그리고 섭취 주의 사항 등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건강보조식품은  20002년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이 되기전에 사용되었던 표기로 지금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건강기능식품 확인 방법>

 

출처-국가 건강정보 포털 

건강기능식품 인증마크 

 

 

<건강기능식품의 특징>

의약품과 식품의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며 식품의약품 안전처가 원료나 성분이 인체가 유용한 기능을 한다고 인정하고 1일 섭취량에 기능과 안정성이 정해져 있습니다.

 

<건강식품(일반식품)>

식품의약품 안전처의  안전 검증을 거치지 않은 식품으로 건강에 좋은 것으로 예로부터 알려진 것들을 의미합니다. 

 

<건강기능식품 섭취시 주의사항>

건강기능식품, 건강보조식품 모두 건강을 유지하고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는 식품이지 의약품처럼 치료와 예방의 효능·효과가 있는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과신하여 과다 섭취해서는 안됩니다. 또 여러 종류의 건강기능식품과 건강보조식품을 섭취하다 보면 제품의 성분끼리 충돌하여 흡수 방해하거나 효과가 떨어질 수도 있으니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허위과대 광고에 현혹될 수 있으니 충분히 알아보고 구매하셔야 합니다.

 

<건강기능식품 구매시 주의사항>

건강기능식품은 인정된 기능성만 표시할 수 있으니 기능성 내용 및 기능성분이 자신의 섭취 목적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고 상품의 표시사항, 유통기한, 제조원, 판매원 등의 사항을 꼼꼼하게 체크합니다. 

 

<건강기능식품 표시 의무사항>

  • 제품명
  • 건강기능식품 마크
  • 업소명 및 소재지
  • 내용량
  • 섭취량·섭취방법
  • 섭취 시 주의사항
  • 유통기한 및 보관방법
  • 영양 및 기능정보
  • 원료명 및 함량

 

<건강기능식품 섭취 후 이상 증상 대처법>

섭취 시 제품에 표시대로 드신다면 부작용은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섭취량을 권장량보다 많이 섭취하거나,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 섭취 후 두통, 설사, 두드러기 등이 발생할 수 도 있는데 이런 때에는 섭취를 중단하고 식품안전 정보원에 부작용 상담을 하시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