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의 숲/부동산 이야기

23년 '부동산 정책' 금융 어떻게 달라질까?

by 홀로 걷는 여행자 2023. 1. 10.
반응형

23년 '부동산 정책'  세제 어떻게 달라질까? 에 이어 대출 관련 정책의 변화를 알아보려 합니다. 서민이 내 집마련을 위해 필요한 자금 마련을 위해서는  금융정책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리라 생각합니다.

 

금융정책

- 6억 이하 주택의 주택담보대출 채무조정 대상 확대

실직,  폐업, 질병등의 이유로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차주에게 3년간 원금 상환을 유예해 주는  채무조정 혜택이 실행 예정입니다. 신용도, 가용소득 대비 상환 부담 수준 매출액 및 변동 수준, 다중채무 여부 등을 종합해서 상환 가능 여부를 파악합니다. 

 

- 한도 2억의 생활안정자금 목적의 주택담보대출 규제 완화

보유주택을 생활안정자금 목적으로 담보대출시 2억을 한도를 없애고 LTV·DTI 한도내에서 대출 가능하도록 했으며 임차보증금 반환 목적으로  주택을 담보로 할 때 투기과열지구 15억 초과아파트 대출이 22년 12월 1일부터 가능합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HF)에서 받을 수 있는 임차보증금 반환 대출 보증한도가 1억 원에서 2억 원으로 상향 조정됩니다.

 

 

 

- 한국주택금융공사(HF)는 저리로 전세대출금 한도액 상향 조정

한국주택금융공사(HF)는 무주택 청년층의 높은 전세대출금리 부담을 낮춰주기 위해 연소득 7000만원·34세 이하 청년층에게 1억 원 한도의 전세자금보증금 대출액을 2억 원으로 상향 조정해 낮은 소득 인해 주거가 불안정한 대학생과 사회 초년생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준다고 합니다.

 

- "특례보금자리론" 상품으로 서민과 실수요자 주거안정에 효과 기대

기존 장벽이 높았던 보금자리론을 주택가격과 소득 요건 등을 완화해  서민과 실수요자 주거안정을 힘을 실어 주려고 합니다. 기존 보금자리론에 안심전환대출과 적격대출을 통합한 "특례보금자리론"을 운영합니다. 금리인상으로 주택 구입이 어려운 실수요자와 서민의 주거 안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주택가격 9억 원 이하 주택을 5억 원까지 연 4%로 대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23년 '부동산 정책' 세제 어떻게 달라질까?

 

23년 '부동산 정책' 세제 어떻게 달라질까?

이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규제 일변도였다면 22년 새로운 정부는 부동산 시장의 거래 안정화, 규제 완화를 표방하고 있습니다. 23년 부동산 정책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세금, 대

777gabbu.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