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챙김

커피 카페인 알고 마셔요.

by 홀로 걷는 여행자 2021. 7. 4.
반응형

커피는 6000억 잔이 1년에 전세계적으로 소비된다고 합니다. 하루에 4~6잔 정도 마시고 있는데 역류성 식도염으로 고생하다 보니 즐겨 마시던 커피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고 정말 인체에 해로운 것이지 궁금해지기도 해서 카페인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커피-커피잔
커피-카페인

 

1. 카페인?

카페인은 중추 신경계 자극제이며 메틸크산틴(methylxanthine)이다. 카페인은 중추 신경계 자극을 통해 생리적 효과를 나타내며 화학적 분류는 크산틴(xanthines)이다. [출처 FDAPharmClasses]

 

2. 카페인의 효능

피로회복

신진대사 촉진

기억력 향상

변비 예방

이뇨작용

두통 완화

혈액 순환 개선

 

3. 카페인의 부작용

1) 금단현상

커피 카페인을 하루 섭취 권장량보다 많이 마시게 되는 경우 부작용이 생기게 됩니다. 지속적으로 과량을 섭취하다 멈추게 되면 불면증과 심장박동수의 증가, 그리고 불안감 등의 금단현상이 생기게 됩니다.

 

2) 두통

일상 생활중 가끔 머리가 아픈 경우가 있다 보니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 있는데 커피를 평상시보다 적게 마시거나 혹은 마시지 않았을 때 두통이 생긴다면 중독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3) 소화기 장애

위장의 점막을 자극해 위산과다를 유발해서 속이 쓰리고 메스꺼움이 생기고 더 악화될 경우 위궤양과 역류성 식도염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4) 철분 흡수 방해

카페인은 몸속에 철분이 저장되도록 돕는 단백질 페리틴 농도를 낮게 한다고 합니다. 즉 페리틴은 체내 철분흡수를 방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5) 골다공증 위험성 증가

카페인은 칼슘의 흡수를 방해하고 칼슘 소실이로 인해 골다공증에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6) 불면증 유발

수면과 커피가 무관하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커피의 카페인은 충 추신 경자 극제로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민산,  도파민 등을 활성화시켜 심장박동 촉지 시키고 잠자는 동안 뇌를 각성시켜 숙면을 방해하게 됩니다.

 

4. 카페인 하루 권장량

1) 성인 기준 400㎎(4잔 이내)

권장량 이상을 섭취하는 경우 많은 부작용으로 인해 건강을 해치게 됩니다.

 

2) 어린이 100㎎

어린이나 청소년의 경우 과다 섭취하는 경우 대뇌 발달에 악영향을 미치고 성장발달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고 합니다. 20㎏ 이하의 어린이의 경우 50㎎이하의 카페인을 섭취하여야 합니다.

 

3) 임산부 기준 200㎎(2잔 이내이나 이보다 적은 양, 혹은 마시지 않기를 권고함)

임산부의 경우 임신 초기 3개월 이내에는 철분 흡수 방해로 빈혈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자궁을 수축시켜 저체중 태아, 유산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카페인은 커피 아닌 녹차, 홍차, 탄산음료, 에너지 음료 등에도 함유되습니다. 모두를 피할 수 없지만 과다 섭취로 인한 부작용 없이 즐길 수 있도록 적당량 섭취로 건강 챙기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