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의 숲/알돈야(알면 돈될 야그)

청년 주거정책 알아두면 불안정한 주거 걱정 끝~

by 홀로 걷는 여행자 2021. 10. 11.
반응형

주거가 불안정하다 보면 일에도 집중하기 힘들죠! 그래서 청년 주거 안정을 위한 정부의 다양한 지원들을 모아 보았습니다. 주거 정책 살펴보고 맞는 지원받아보세요. 

 

 

 

1.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

20대 미혼 자녀가 취학이나 구직 등의 이유로 부모와 따로 거주하는 경우 지원해 주는 주거정책

  • 연령 : 만 19세~30세
  • 기준 :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45%이하인 가구 내 20대 미혼 자녀
  • 지원 내용 : 기준임대료 한도 내에서 임차급여 지급
  • 제한 대상 : 사용대차가구, 보장시설 거주가구 내 자녀

 

2. 주거급여(맞춤형 급여)

주거안정과 주거생활 향상을 위하여 일정 소득 이하 국민에게 지원

 

<신청자격>

 중위소득의 45% 이하

 

<지원 내용> 

  • 임차가구 : 전월세 비용 - 지역 및 가족 수에 따라 산정한 기준임대료를 상한으로 실제 임차료(월 임차료 + 보증금 환산액 연 4% 적용 지원)
  • 자가가구 : 낡은  집 수선 - 주택의 노후도에 따라 도배, 난방, 지붕 등 수리비 지원

 

 

<제한 대상>

  • 긴급복지 연료 및 전기요금, 생계급여(맞춤형 금여)
  • 긴급복지 생계지원, 긴급복지 교육지원
  • 긴급 주거지원, 긴급복지 사회복지시설 이용 지원
  • 긴급복지 해산비 지원, 긴급복지 장제비 지원

 

3. 청년 사회적 주택

LH의 매입임대주택을 청년층에게 주변 시세 50% 수준으로 커뮤니티 활동 등 다양한 주거서비스를 제공

 

<신청 자격>

  • 만 19세~39세
  • 무주택자인 미혼으로 소득, 총자산, 자동차가액 기준 충족 필요
  • 생계 의료 주거급여 수급자 가구, 한부모 가족, 차상위 계층 가구 중 어느 하나에 해당

<제한 대상>

기혼자, 외국인, 재외국민

 

 

 

4. 청년을 위한 공적 임대주택 공급

청년 공공임대주택(청년 행복주택, 청년 전세임대주택) 및 청년 공공지원 민간주택임대 주택 지원

 

<신청 자격>

  • 만 19세~34세
  • 공공임대 : 사회초년생, 대학생, 취업 준비생
  • 공공지원 민간임대 : 무주택 청년

<지원 내용>

시세 대비 저렴한 임대료 및 보증금과 안정적 거주 기간 보장

 

 

5.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청년 우대형 청약저축통장'은 청년들 내집 마련 우대 혜택

 

'청년 우대형 청약저축통장'은 청년들 내집 마련 우대 혜택

2030 세대의 내 집 마련은 영 끌을 해도 힘든 게 현실적이죠! 정부에서는 2030 세대를 위한 혜택으로 '청년우대형 청약저축통장' 우대혜택으로 내 집 마련의 꿈을 앞당길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777gabbu.tistory.com

 

댓글